ch 1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

  • 컴퓨터 네트워킹, 인터넷 개요
  • 종단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링크, 스위치
  • 데이터 전송 지연, 손실의 원인
  • 프로토콜 계층 구조와 서비스 모델

1.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1. 인터넷의 구성 요소 (너트와 볼트) 기술하는 관점
  2. 네트워킹 인프라스트럭처(분산 애플리케이션에 서비스를 제공) 관점

1.1.1 구성요소로 본 인터넷

    • 컴퓨터 네트워크
    • 호스트 = 종단 시스템(end system)
      • 인터넷에 연결되는 장치들
      • 종단 시스템은 컴퓨터 네트워크(통신 링크, 패킷 교환기)로 연결됨
    • 통신 링크(communucation link): 다양한 물리 매체로 구성
      • 각각의 링크들은 다양한 전송률(transmission rate, 링크 대역폭)을 이용
    • 패킷
      • 송신 종단 시스템이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나누고 각 세그먼트에 헤더를 붙인 것
      • 목적지 종단 시스템으로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보내진다.
책에서 네트워크라는 용어를 계속 사용해서 헷갈리는데 내가 이해 한 바로는 여기서 네트워크는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과 다르다.
  • 패킷 교환기(스위치)
    • 입력 통신 링크의 하나
    • 도착하는 패킷을 받아서 출력 통신 링크의 하나로 그 패킷을 전달한다.
    • 많은 형태와 특징이 있다.
    • 링크 계층 스위치(> L2 데이터 링크 계층)
      • 보통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됨
    • 라우터(> L3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코어에서 사용됨
        image
        image

참고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점-Tistory

    • 경로 (route 혹은 path)
      • 패킷이 종단 시스템끼리 전달되는 동안 거쳐온 일련의 통신 링크와 패킷 스위치
    • 패킷 교환 네트워크
      • 수송 네트워크와 유사하다.
      • 패킷은 트럭 통신 링크는 도로 패킷 교환기는 교차로 종단 시스템은 빌딩
      • '패킷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를 따른다'
    • ISP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
      • 종단 시스템을 인터넷에 접속하게 함
      • 케이블 모뎀이나 DSL같은 가정용 접속, 고속 LAN 접속, 이동 무선 접속, 56kbps 다이얼업 모뎀 접속 등등을 포함한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을 제공
56kbps 다이얼업 모뎀이뭔데... -> https://coolenjoy.net/bbs/38/6161405 5G와 기가비트 속도 인터넷의 시대이며, 대부분 지역에서 다이얼업 연결은 사라졌습니다. 그러나 일본 회사가 웹 서핑을 위해 여전히 오래된 구리 전화선에 의존하는 사람들을 위해 완전히 새로운 56K 모뎀을 출시하는 것을 막지는 못했습니다. (중략) 56K 표준은 1998년에 도입되어 이론적인 다운로드 속도 56Kbps, 업로드 속도 33.6Kbps를 제공 ,..
    • CP(content provider)에게 인터넷 접속 제공: 넷플릭스, 구글, 카카오, 네이버 등 웹사이트와 비디오 서버를 인터넷에 직접 연결
    • ISP 끼리도 연결되어 있음: 하위 계층 ISP들은 국제 상위 계층 ISP 를 통해 연결하고 상위계층들은 직접 연결
    • 각 ISP 네트워크는 따로 관리되고 IP프로토콜을 수행하며 네이밍과 주소배정 방식을 따른다,

[IT 돋보기] 넷플릭스 망 사용료 부담 논란... 해법은?-자투리경제 김봉균 SNS에디터

image
  • 프로토콜: 인터넷의 구성 요소가 따르는 정보 송수신 제어 방법
    • TCP/IP
      • 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토콜
      • IP 프로토콜: 라우터~종단시스템 패킷포맷 서술
  • RFC: IETF에서 개발한 인터넷 표준 문서, 9000개 이상이 있다.

정리

종단 시스템은 ISP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함

ISP란 개인이나 기업체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 웹사이트 구축 및 웹호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회사

사람이 사용하는 종단 시스템 끼리 연결하는 인터넷을 연결하는 모든것이 컴퓨터 네트워크

패킷을 보내기 위해 통신 링크로 물리적 연결하고 패킷 스위치를 통해 패킷이 갈 곳을 판단하는 것이다

물리적 연결을 관리하는 것이 isp

osi 7계층이랑 계속 헷갈렸는데 osi 7계층은 한 컴퓨터에서 일어나는 것

image

라우터는 뭐고 모뎀은 뭐고 랜은 뭐지

모뎀, 스위치와 뭐가 다르지?’··· 네트워크 라우터의 역할과 동작 방식 By Keith Shaw - CIO

모뎀(또는 게이트웨이)은 ISP가 제공하는 인터넷 링크(일반적으로 케이블, 파이버 또는 DSL과 같은 광대역 연결)를 집 또는 회사에 연결하는 디바이스다. 모뎀 또는 게이트웨이는 라우터에 연결되어 단일 컴퓨터로 직접 유선 연결을 제공할 수 있지만, 더 일반적인 형태는 LAN의 디바이스(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게임 콘솔, TV, 냉장고 등)에 여러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다.

라우터를 스위치와 혼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스위치 역시 네트워크 트래픽을 포워딩하고 라우팅하지만 목적이 다르다. 라우터는 3계층(네트워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기본적으로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달리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2계층에서 동작하며 패킷을 연결하고 정렬해 LAN 내의 디바이스로 트래픽을 분배한다. 일부 스위치는 3계층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일부 라우터는 스위칭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스위치는 LAN에서 동작하고 라우터는 대체로 LAN을 인터넷과 광역 네트워크(WAN)의 다른 라우터에 연결한다.

허브와 2계층 LAN 스위치의 주요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허브는 여러 장치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네트워킹 장치입니다. OSI 모델의 물리적 계층에서 작동하는데, 즉, 한 장치에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허브에 연결된 다른 모든 장치에 브로드캐스트합니다. 허브에 연결된 모든 장치가 동일한 대역폭을 놓고 경쟁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혼잡과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허브는 일반적으로 오래된 기술로 간주되며 대부분 스위치로 대체되었습니다.
허브와 레이어 2 LAN 스위치의 주요 기술적 차이점은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허브는 연결된 모든 장치에 데이터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반면 레이어 2 스위치는 MAC 주소를 사용하여 의도한 수신자에게만 데이터 패킷을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혼잡이 줄어들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향상됩니다. 레이어 2 스위치는 VLAN 지원 및 포트 미러링과 같은 기능도 갖추고 있어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더욱 진보적이고 효율적인 옵션입니다.

--- 2024-04-02 작성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