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스킨은 글 보기 하면 이렇게, 글 제목만 뜨고 카테고리가 뜨지 않는데 개인적으로 보기 불편해서 변경해보았다.

스킨 편집에서 html 탭을 들어간 후

s_article_rep 을 검색하면

<div id="head">
              <h2><a href=""></a></h2>
              <div class="post-meta">
                <span class="author"></span>
                <span class="meta-date"></span>
                
              </div>
              <div class="date"></div>
            </div>

이런 코드가 뜬다.
포스팅 헤더이다.

여기서 <h2><a href=""></a></h2> 이 글 제목이다.

<div><h3><a href=""></h3></div>를 위에 추가해준다.
그냥 h3 태그를 사용하면 줄바꿈이 되지 않아서 큰 수정 없이 줄바꿈하기 위해 div로 나눴다.

 <s_article_rep>
            <div id="head">
            <div><h3><a href=""></h3></div>
              <h2><a href=""></a></h2>
              <div class="post-meta">
                <span class="author"></span>
                <span class="meta-date"></span>
                
              </div>
              <div class="date"></div>
            </div>

이렇게 된다.

h3이 정의되어있지 않으므로 안예쁘게 나올것이다.

css 탭을 켠다.

#head 를 검색한다.

 

h2 태그 서식을 참고해 h3 서식을 꾸며주었다.

 

/* h3서식추가*/

#head h3 {
  display: inline-block;
  margin: 0 0 0px;
  padding: 0 5px 3px;
  font-size: 16px;
  font-weight: 400;
  color: #888;
  line-height: 200%;
  text-shadow: 1px 1px #dedede;
  word-break: break-word;
}

#head h3 a {
  color: #444;
}

#head h3 a:hover {
  color: #d0d0d0;
}

 

이렇게 하면 아래처럼 글 제목 위에 해당 카테고리가 뜨게 된다.

 

바꿀만한 설정👇

margin: 상하좌우 바깥 여백

padding: 상하좌우 안쪽 여백

font-size: 폰트사이즈

font-weight: 굵기

color: 글자색

text-shadow: 그림자 위치, 색 설정

 

[ ##_article_rep_link_## ] 같은 단어(치환자)의 의미는 아래 링크에서 찾아볼 수 있다.

https://tistory.github.io/document-tistory-skin/

 

소개 · GitBook

No results matching ""

tistory.github.io

 

서브 카테고리 기호를 바꿔보았다.

스킨 편집 하기 들어간 후 css에서

 

#sidebar .category ul li ul li ul li:before {
  content: "⚝";
  font-family: "FontAwesome";
  font-size: 12px;
  padding-right: 5px;
}

ctrl+f로 해당 코드를 찾아 content를 변경하면 오른쪽과 같이 적용된다.

 

 

 

 

티스토리는 기본제공 스킨의 수가 제한적인데, 커스텀을 더 하기는 귀찮고 내 마음에 드는 사진으로 바꾸기만 해도 마음에 들 것 같아서 간단히 커스텀을 해보았다.


기본 테마 Odyssey테마 배너 수정하는 법

 

 

1. 스킨 편집 → html 편집 누르기

 

 

 

2. HTML 문서를 보자

대충 웹페이지 구조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3. 코드를 찾기

Ctrl+F를 누르면 페이지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area-promotion을 찾는다.

 

 

 

4. 코드 수정하기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검색을 하면 아래와 같은 코드가 보일 것이다.

            <s_if_var_headerbannerimage>
              <!-- area-banner -->
              <div class="area-promotion height400 <s_if_var_bannermobile>bannermobile-on</s_if_var_bannermobile>" style="background-image:url('');">
                <div class="inner-promotion">
                  <div class="box-promotion">
                    <s_if_var_headerbannertitle>
                      <strong style="color: "></strong>
                    </s_if_var_headerbannertitle>

                    <s_if_var_headerbannerlink>
                      <style>
                        .link-promotion {background:;}
                        .link-promotion:hover {background:;}
                      </style>
                      <a href="//" class="link-promotion">자세히보기</a>
                    </s_if_var_headerbannerlink>


                  </div>
                </div>
              </div>
              <!-- // area-banner -->
            </s_if_var_headerbannerimage>

 


3번째 줄만 보면 된다.

 <div class="area-promotion height400 <s_if_var_bannermobile>bannermobile-on</s_if_var_bannermobile>" style="background-image:url('');">

 

이렇게 되어있다.

 

4-1. 크기 수정하기

area-promotion height400 에서 height 뒤 숫자를 수정하면원하는 크기로 설정 가능하다.

더보기

css도 뜯어본 결과



height200, height300, height400, height500 중에 고르면 된다.

 

height와 숫자 사이 띄어쓰기 하지 않는다.

 

 

4-2. 사진 바꾸기

는 html 바꿀 필요 없다.

그냥 여기 올리면 된다!

html 하는김에 괜히 태그 건드려본 결과는 아래에

더보기

파일 업로드 탭에서 원하는 사진 파일을 업로드한다. 고화질을 추천한다.

 

 

그리고 style태그의

 이 부분을 파일 이름으로 바꿔준다.

따옴표나 괄호가 지워지지 않게 조심한다.

style="background-image:url('./images/이미지.확장자명');">
 
 
모두 적용한 예) <div class="area-promotion height200 <s_if_var_bannermobile>bannermobile-on</s_if_var_bannermobile>" style="background-image:url('./images/benjamin-voros-U-Kty6HxcQc-unsplash.jpg');">

 

 

완성~

 

먼저 svg 파일을 다운받아 파일 업로드 탭에 업로드한다.

나는 귀찮아서 그냥 png

출처표기: <a href="https://www.flaticon.com/kr/free-icons/github" title="github 아이콘">Github 아이콘  제작자: Dave Gandy - Flaticon</a>

 

HTML 탭

 

box-sns 클래스에 아래 코드를 추가하엿음

<a href="https://github.com/nrkcode" class="link-sns link-github">
	<img src="./images/githubicon.png" width="60%" height="60%"/>
</a>

 

CSS 탭

 

.area-aside .box-profile .link-github {
  line-height: 46px;
  align-items: center;
  padding: 2px;
}

 

 

적용되었다.

 

참고한 블로그

https://0828lucy.tistory.com/6

 

티스토리 프로필에 SNS 아이콘 삽입하기

현재 블로그에서는 티스토리의 블로그형 스킨 'Odyssey'를 사용중이다. 'Odyssey' 스킨에서 HTML과 CSS 코드를 수정하여 현재 스킨을 디자인하였다. 해당 스킨의 사이드바에 보이는 프로필에는 페이스

0828lucy.tistory.com

 

 

사담

html 적용이 안돼서 보니 와이파이가 끊겨있었음

아오~~

 

+)

.area-aside .box-profile .img-profile {
  width: 140px;
  height: 140px;
  margin: 49px 0 14px 0;
  border-radius: 140px;
}

 

border-radius는 네모 모서리를 둥글게 깎는 코드이다.

css탭에서 .area-aside .box-profile .img-profile 를 검색해서 조절하면 프로필 사진 모양을 바꿀 수 있다.

프로필 이미지 배경이 없어서 모서리 둥글기를 조금 조절했다.

 

+ Recent posts